주부산 중국 총영사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부산 중국 총영사관은 중화인민공화국이 부산광역시에 설치한 영사관이다. 1993년 9월 설립되었으며, 부산, 울산, 대구, 경상북도, 경상남도를 관할 구역으로 한다. 중화인민공화국 국민의 여권, 비자 발급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2007년 주광주 중국 총영사관 개설로 관할 구역이 조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재외 공관 - 주한 중국 대사관
주한 중국 대사관은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외교 관계를 수행하는 핵심 기관으로, 1882년 청나라 공관 설립을 시작으로 한중 수교 이후 서울에 위치하며 수도권과 일부 지역을 관할하고 부산, 광주, 제주에 총영사관을 두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재외 공관 - 주미국 중국 대사관
주미국 중국 대사관은 미국에 주재하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 공관으로, 1875년 청나라 시기에 처음 설치되어 1979년 미·중 수교 이후 현재의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영사관 - 주제주 중국 총영사관
주제주 중국 총영사관은 2012년 개관하여 제주특별자치도 전 지역을 관할하며 영사 업무를 수행하고 주한 중국 대사관의 지휘를 받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 공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영사관 - 주광주 중국 총영사관
주광주 중국 총영사관은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를 관할하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 공관으로, 영사 보호, 비자 발급, 공증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한중 양국의 공휴일에 휴무한다. - 부산 주재 공관 - 주부산 몽골 영사관
주부산 몽골 영사관은 2016년 3월 10일에 개관하여 부산, 울산, 대구,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남도, 광주광역시를 관할한다. - 부산 주재 공관 -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은 한일 기본 조약 체결 후 부산 지역의 일본 외교 및 영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일본의 외교 공관으로, 비자 발급, 문화 교류, 경제 협력, 정치 정보 수집 등의 업무를 담당하며 한일 관계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주부산 중국 총영사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주부산 중국 총영사관 정보 | |
![]() | |
설립일 | 1993년 |
소재지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394번길 25 () |
관할 지역 |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
기관장 직책 | 총영사 |
기관장 성명 | 궈펑() |
상급 기관 |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주한 중국 대사관) |
웹사이트 | 주부산 중국 총영사관 공식 웹사이트 |
추가 정보 |
2. 연혁
- 1993년 9월 6일: 부산 동구 초량동 중앙프라자 빌딩에서 주부산 중국 총영사관이 설립되었다.[1]
- 2002년 4월: 부산 해운대구 우동 1418번지로 이전하였다.[2]
- 2007년: 주광주 중국 총영사관 개설에 따라 관할 구역이 조정되었다.
3. 관할 구역
주부산 중국 총영사관의 관할 구역은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경상남도이며,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고 있는 독도도 포함된다.[3]
3. 1. 관할 구역 변동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과 마찬가지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경상남도를 관할한다. 다만,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고 있는 독도는 관할 구역에 포함된다.[3] 당초 관할 구역은 대한민국의 남부 지방 전 지역이었지만 2007년부터 주광주 중국 총영사관이 개설됨에 따라 관할 구역이 분리되었으며, 주광주 중국 총영사관 개설 당시 관할 구역은 현재의 광주고등법원 관할 구역과 비슷하다.4. 주요 업무
대한민국의 통상·경제·문화 및 과학적 생활의 모든 조건을 조사하여 국가와 관계 기관에 정보를 제공하고, 중화인민공화국 국민에 대해 여권, 여행증 발급 및 철회, 수정 또는 회수 및 보류와 사증(비자) 발급·연장·철회 업무를 담당한다.
5. 역대 총영사
대수 | 이름 | 임기 |
---|---|---|
1 | 장정차이(蒋正才|장정차이중국어) | 1993년 9월 6일 ~ 1998년 12월 30일 |
2 | 자오둥춘(焦东村|자오둥춘중국어) | 1999년 1월 31일 ~ 2003년 6월 2일 |
3 | 류진펑(刘谨凤|류진펑중국어) | 2003년 6월 20일 ~ 2005년 5월 30일 |
4 | 톈바오전(田宝珍|톈바오전중국어) | 2005년 6월 17일 ~ 2009년 7월 7일 |
5 | 관화빙(关华兵|관화빙중국어) | 2009년 8월 9일 ~ 2011년 5월 9일 |
6 | 하오샤오페이(郝晓飞|하오샤오페이중국어) | 2011년 5월 20일 ~ 2014년 6월 26일 |
7 | 옌펑란(阎凤兰|옌펑란중국어) | 2014년 7월 26일 ~ 2016년 10월 31일 |
8 | 궈펑(郭鹏|궈펑중국어) | 2016년 11월 ~ 현재 |
6. 휴무일
상시 휴일은 매주 토요일과 일요일이지만 코로나19 범유행과 관련된 이슈 이후에는 주 2회 근무 원칙으로 제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의 공휴일 및 중화인민공화국의 공휴일인 경우도 물론 휴무이다.
7. 관련 기관
wikitext
일반 주제 |
---|
한반도에 설치된 다른 중국 공관들 |
부산에 설치된 다른 영사관 |
7. 1. 일반 주제
7. 2. 한반도에 설치된 다른 중국 공관들
7. 3. 부산에 설치된 다른 영사관
참조
[1]
뉴스
부산의 외국공관 <5> 中國 총영사관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1996-05-20
[2]
뉴스
[부산속의 세계 세계속의 부산] 중국 총영사관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2006-08-26
[3]
tex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